개요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7 Layer
-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참조 모델 7계층
●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개발한 통신에 관한 계층화 표준 모델
의의
● 분산된 다른 기종 시스템간의 네트워크 상호호환을 위한 표준 아키텍처를 정의 할 수 있다.
● 통신에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계층별로 분할하여 분업이 가능하다. (Divide and conquer)
● 기술표준인 기존 TCP 4계층 모델이 계층별로 역할이 불명확하여 발생했던 많은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7계층
Layer 1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물리적인 장치의 전기적, 전자적 연결에 대한 명세
●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적인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물리적인 전송이 가능케 한다.
● 주소 계념이 없으며 물리적으로 연결된 노드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다.
- 단위(PDU) : 비트(Bit) - 주요 프로토콜 : X.21, RS-232 등 - 주요 장비 : 허브(HUB), 리피터(Repeater) 네트워크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등 |
Layer 2 :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인접한 노드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단위 : 프레임) 전송을 제어(Nod-To-Nod Delivery)
● 네트워크 카드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를 통해 목적지를 찾아간다.
●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흐름제어(Flow Controller), 오류제어(Error Controller), 회선제어(Line Control)을 수행한다.
● 논리링크제어계층, 매체접근제어계층이라는 두 개의 부계층으로 나뉜다.
- 단위(PDU) : 프레임(Frame) - 주요 프로토콜 : HDLC, X.25, Ethernet, TokenRing, DFFI, FrameRelay 등 - 주요 장비 : 브리지(Birdge), L2 Switch 등 |
Layer 3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종단간 전송을 위한 경로 설정을 담당한다. (End-To-End 혹은 Host-To-Host Delivery)
● 호스트로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하고 제어한다.
● 종단간 전송을 위한 주소로 IP주소를 사용한다.
- 단위(PDU) : 세그먼트(Segment) - 주요 프로토콜 : TCP, UDP - 주요 장비 : L4 Switch |
Layer 5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응용 프로그램간의 논리적인 연결(세션) 생성 및 제어를 담당한다.
- 단위(PDU) : 데이터(Data) 또는 메세지(Message) |
Layer 6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데이터 표현방식, 상이한 부호체계 간의 변화에 대해 규정한다.
● 인코딩/디코딩, 압축/해제, 암호화/복호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단위(PDU) : 데이터(Data) |
Layer 7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단위(PDU) : 데이터(Data) - 주요 프로토콜 : TELNET, FTP, SMTP, HTTP 등 |
https://itwiki.kr/w/OSI_7%EA%B3%84%EC%B8%B5
IT위키
IT에 관한 모든 지식. 함께 만들어가는 깨끗한 위키
itwiki.kr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ward와 Rdeirect 차이 (0) | 2022.11.04 |
---|---|
상태유지(Stateful) vs 무상태(Stateless) (0) | 2022.10.30 |
GET과 POST 비교 (0) | 2022.10.30 |
URI, URL 이게 뭐지? (0) | 2022.10.29 |
웹 서버와 WAS (0) | 2022.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