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ward 방식
- Forward는 Web Container 차원에서 페이지 이동만 존재한다. 실제로 웹 브라우저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음을 알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에는 최초에 호출한 URL이 표시되고, 이동한 페이지의 URL 정보는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현재 실행중인 페이지와 forward에 의해 호출될 페이지는 Request 객체와 Response 객체를 공유한다.
위 그림과 같이 Forward는 다음으로 이동 할 URL로 요청정보를 그대로 전달한다. 그렇게 때문에 사용자가 최초로 요청한 요청정보는 다음 URL에서도 유효하다. 예를 들어 게시판을 작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때, 사용자가 보낸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글쓰기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때, forward를 사용하여 응답 페이지를 부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실수 혹은 고의로 글쓰기 응답 페이지에서 새로고침을 누른다면, 요청 정보가 그대로 살아있기 때문에 요청이 여러 번 전달되어 동일한 게시물이 여러 번 등록될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게시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시스템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단순 조회 요청(글 목록 보기, 검색)의 경우 forward로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Redirect 방식
- Redirect는 Web Container로 명령이 들어오면, 웹 브라우저에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라고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웹 브라우저는 URL이 지시된 주소로 바꾸고 해당 주소로 이동한다. 다른 웹 컨테이너에 있는 주소로 이동하며 새로운 페이지에서는 Request와 Response객체가 새롭게 생성된다.
Redirect의 경우 최초 요청을 받은 URL1에서 클라이언트에게 redirect할 URL2를 반환하고, 클라이언트에서는 새로운 요청을 생성하여 URL2에 다시 요청을 보낸다. 그러므로 처음 보냈던 최초의 Request와 Reponse 객체는 유효하지 않고 새롭게 생성되는 것 이다. 예를 들어 게시판을 작성하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사용자가 보낸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글쓰기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때, redirect를 사용하여 응답 페이지를 부르면 사용자가 실수 혹은 고의로 글쓰기 응답 페이지에서 새로고침을 누른다고 하더라도, 처음의 요청 정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게시물이 여러 번 등록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시스템에 변화가 생기는 요청(회원가입, 글쓰기 등)의 경우에는 redirecti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Spring에서 Redirect사용
- Spring에서는 아래와 같이 redirect를 처리할 수 있다.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GetMapping("/signup")
public String joinForm() {
return "users/createMember";
}
/**
* 회원가입
*/
@PostMapping("/signup")
public String joinForm(@ModelAttribute UserDto.Request UserDto) {
userService.saveUser(UserDto);
return "redirect:/";
}
}
https://mangkyu.tistory.com/51
[Web] Forward와 Redirect 차이
웹은 현재 작업중인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 2가지 페이지 전환 기능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2가지의 페이지 전환 방법의 차이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Forward
mangkyu.tistory.com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태유지(Stateful) vs 무상태(Stateless) (0) | 2022.10.30 |
---|---|
GET과 POST 비교 (0) | 2022.10.30 |
URI, URL 이게 뭐지? (0) | 2022.10.29 |
웹 서버와 WAS (0) | 2022.10.27 |
OSI 7 Layer (0) | 2022.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