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3

@RequestBody, @ModelAttribute, @RequestParam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요청을 객체로 바인딩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 알아보자 ● @RequestParam - 1개의 HTTP 요청 파라미터를 받기 위해 사용한다. 필수 여부가 true로 설정되어 있기에 반드시 해당 파라미터가 반드시 해당 파라미터가 전송되어야 하며, 파라미터가 전송되니 않으면 400 에러가 발생한다. 반드시 필요한 값이 아니라면 required를 false로 설정해 주면 된다.(defaultValue 옵션을 사용하면 기본값을 지정할 수 있다.) ● @RequestBody - 클라이언트가 전송하는 JSON(application/json) 형태의 HTTP Body를 Java 객체로 변환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게 때문에 Body가 존재하지 않는 HTTP Get 메소드에 @RequestBo.. 2022. 10. 30.
GET과 POST 비교 어떤 웹으로 이동하기 위해 URL을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후 이동하게 됩나다. 단순히 URL을 입력 했을 뿐이지만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기위해 처리 해야 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 보내는 방법인 HTTP Method는 크게 2가지 방식(GET, POST)이 있다. ● GET 방식 -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오는 상황과 유사하게 GET은 어떠한 정보를 가저와 조회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이다. ● 특징 URL에 변수(데이터)를 포함시켜 요청한다. 데이터를 Header(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어 보안에 취약하다. 캐싱할 수 있다. 간단한 데이터를 URL에 넣도록 설계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양에 한계가 있다. HTTP자체는 GET 방식.. 2022. 10. 30.
서블릿(Servlet) 이란? ● 서블릿(Servlet)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면 결과를 다시 전송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이다. (ex. 로그인 할려고 할 때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서버에서 아이디, 비밀번호를 확인 후 다음 페이지를 띄워 주어야 하는 기술이다. 그래서 자바로 구현된 CGI라고 한다.) ● 특징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한다. -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된다. -.. 2022. 10. 30.
IoC, 스프링 컨테이너(Container), 스프링 빈(Bean)이란? ● IoC(Inversion of Control)란? - IoC는 제어의 역전이라는 뜻으로 프로그램의 제어의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전에는 개발자가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했다. 하지만 Spring을 이용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프로그램의 제어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란? -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피링의 빈(Bean)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IoC Container 혹은 DI Container라고 불리는데, 이는 스프링 컨테이너가 IoC 혹은 DI를 도맡아 진행하기 때문이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 Bean들을 생성하고, 이들의 의존 관계를 연결해 주는 역할.. 2022. 10. 29.
728x90